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아, 환장하겠네” 운전자들 혈압 폭발, 저걸 어떻게 대응하냐 난리!

박건민 에디터 조회수  

선선한 날씨, 자라니 때문에 사고 위험 급증

운전자 자전거

요즘은 해가 질 무렵, 선선한 날씨 덕분에 드라이빙하기 좋다. 특히 도심 근교로 차박, 캠핑 등 여행을 가거나 가볍게 집 주변을 거닐며 기분전환을 하는 사람들이 부쩍 늘었다.

하지만 이런 시기에 ‘자라니(자전거+고라니)’에 대한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자라니는 자전거를 타고 자동차의 통행을 방해하거나 교통 법규를 위반하는 사람들을 의미한다.

물론, 요즘은 인식 개선을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여전히 일부 몰상식한 행동으로 인해 부정적신 시전은 좀 처럼 바뀌지 않고 있다.

점점 늘어나는 자전거 사고

운전자 자전거

도로교통공단 데이터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7~2021년) 자전거 교통사고 통계를 보면, 사고건수는 총 27,239건이다. 이로 인한 사망자는 449명, 부상자는 29,142명 발생했다. 

자전거 교통사고의 치사율은 1.65로 전체 교통사고 치사율 1.61과 비슷한 수준이다. 하지만 연령별로 보면 다른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20세 이하 치사율 : 0.32
65세 이상 치사율 : 3.56

으로, 운전자 연령대가 높을수록 치사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운전자 자전거

40대 이하에서는 자전거 대 사람 사고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았고, 50대 이상 연령대는 자전거 대 차 사고 비율이 높았다.

이런 와중에 안전모 착용률은 20% 남짓이다. 자전거는 사고 직후 보호할 수단이 없다. 노면에 머리를 부딪히면 사망 가능성이 매우 높다.

모른다고 잡아떼는 사람들 많다

운전자 자전거

자전거는 ‘자전거 도로’로 이동해야 하지만, 자전거 도로가 따로 설치되지 않은 곳에서는 도로 우측 가장자리에 붙어서 통행해야 한다.

혹은 자전거 우선 도로에서는 가장자리가 아니더라도 우측 차로의 가운데를 이용해도 된다. 하지만 이런 기본 상식을 지키지 않는 사례가 비일비재하다.

운전자 자전거

여러 차선을 넘나들며 역주행 하는건 기본이고, 주변에 차가 없다고 횡단보도를 이용해 반대 차로로 넘어가는 일도 흔하다. 

간혹 자동차 전용도로를 자연스럽게 이용하는 사례도 있다. 매우 위험할 뿐만 아니라, 자전거 통행은 불법이다.

기존 도심지, 자전거 도로 정비 실효성 있나?

운전자 자전거

서울시는 총 길이 78km에 달하는 한강 자전거 도로 구간을 재정비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자전거 도로 폭을 3미터에서 4미터로 넓히고 보행로 역시 2미터에서 3미터로 늘린다.

차량과 자전거의 동선이 겹치는 구간에는 우회로가 추가될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자전거 사고 다발지역은 저속 자전거도로, 회전 교차로, 색깔 노면 유도선이 도입된다.

운전자 자전거

하지만 서울시의 막대한 교통량과 유동인구를 고려했을 때 어려울 것이라는 평이 지배적이다. 차로 일부를 희생해 자전거 전용도로를 확보할 경우 극심한 교통정체는 불 보듯 뻔하다.

추가 부지를 확보하려 해도, 이미 서울시는 도로와 건물로 과포화 상태다. 운전자와 자전거 운전자, 보행자 모두가 만족할 만한 대안을 마련 할 수 있을 지 의문이다.

에디터 한마디

운전자 자전거

서울시와 정부는 인공지능 교통 시스템을 이용해 교통흐름을 조절하겠다고 약속했다. 계획이 제대로 흘러가면 도로에 여유가 생겨 자전거 도로를 추가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해당 계획이 실제로 성공할 지는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겠다. 최소한 현 시점에는 자전거 운전자들 역시 안전 운전, 방어 운전에 힘썼으면 한다.

박건민 에디터
dotkey@dotkeypress.kr

댓글0

300

댓글0

[에디터픽] 랭킹 뉴스

  • 카니발-하이브리드-저공해
    "뭐야, 이거 사기인가?" 카니발 하이브리드, 인증 못받았는데 혜택 나오는 이유
  • 서울시 연말 모임 대중교통 버스 택시 막차
    "늦게까지 놀아야지" 서울시 연말맞이 특별 대책, 약속 많은 분 꼭 봐야
  • 음주운전 음주 차량압수 경찰 뺑소니 징역 벌금
    "정신 못 차렸네" 최근 '이것' 위해 나선 경찰, 이후 나온 충격적 성과
  • "현대차도 안 할 무리수" 이게 120만 원 높인 신형 트랙스, 바뀐 점
  • 현대차 기아차 투싼 스포티지 부분변경 디자인 사이즈 신차
    "스포티지 큰일났네" 옷 갈아입은 투싼, 이제 좀 고민된다 난리!
  • "550이나 할인?" 출시 2개월차 BMW '이 차', 오너들 먼저 샀다 오열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로고만 없으면 이쁜데…” 북한 스마트폰 부팅되는 장면(+영상)
  • ‘평점 최악’ 악명 높다는 1박에 1만원짜리 일본 숙소의 내부(+영상)
  • “태국 여행 갔다가 예뻐 보여서 입어봤는데… 벌금 물었습니다”
  • “성능도 A, 디자인도 A” 벤츠 신형 더 뉴 A 클래스 공개
  • “SUV에 하이브리드” 대세 중의 대세가 온다. 쉐보레 트래버스
  • “쏘렌토인가, 아니네?” 캐딜락 옵틱, 국내시장 정조준
  • “BMW M3 가솔린 단종?” M3 전기차 공개와 함께 논란 일파만파
  • “한국 사랑해요” 유럽보다 1천만원 싸게 나온다?
  • “단차 심한 테슬라로 바다를?” 사이버트럭 과연?
  • “얘네는 도대체 무슨 생각이야?” 일본의 황당한 차
  • “이대로만 나오면 살텐데…”제네시스 비전 그란투리스모 공개
  • 현대차 아마존 판매 “미국 대히트”패러디까지… 이슈몰이 성공

[에디터픽] 인기 뉴스

  • 카니발-하이브리드-저공해
    "뭐야, 이거 사기인가?" 카니발 하이브리드, 인증 못받았는데 혜택 나오는 이유
  • 서울시 연말 모임 대중교통 버스 택시 막차
    "늦게까지 놀아야지" 서울시 연말맞이 특별 대책, 약속 많은 분 꼭 봐야
  • 음주운전 음주 차량압수 경찰 뺑소니 징역 벌금
    "정신 못 차렸네" 최근 '이것' 위해 나선 경찰, 이후 나온 충격적 성과
  • "현대차도 안 할 무리수" 이게 120만 원 높인 신형 트랙스, 바뀐 점
  • 현대차 기아차 투싼 스포티지 부분변경 디자인 사이즈 신차
    "스포티지 큰일났네" 옷 갈아입은 투싼, 이제 좀 고민된다 난리!
  • "550이나 할인?" 출시 2개월차 BMW '이 차', 오너들 먼저 샀다 오열

[에디터픽] 추천 뉴스

  • "스포티지급 가격" 아빠들, 나오면 무조건 계약할 '가성비 픽업트럭'의 정체
  • 현대차 아산공장 전기차 아이오닉7
    "대박사건!" 가동 중단 예정 현대차 아산공장, 이유는 '이 차' 생산 준비?
  • "곧 3만 대" 부분변경만으로 옆집 풀체인지 모델 누른 기아 '이 차' 정체
  • "아빠들 로망 그 자체" 독일판 카니발 캠핑카, 실내 역대급 구성에 난리!
  • 전기차-화재-배터리-택시
    "이러다 타죽겠네" 수백 할인 퍼줘도, 내가 호구냐 '전기차 기피' 심각
  • "무조건 보세요!!" 택시 번호판 '이것' 아니면 조심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로고만 없으면 이쁜데…” 북한 스마트폰 부팅되는 장면(+영상)
  • ‘평점 최악’ 악명 높다는 1박에 1만원짜리 일본 숙소의 내부(+영상)
  • “태국 여행 갔다가 예뻐 보여서 입어봤는데… 벌금 물었습니다”
  • “성능도 A, 디자인도 A” 벤츠 신형 더 뉴 A 클래스 공개
  • “SUV에 하이브리드” 대세 중의 대세가 온다. 쉐보레 트래버스
  • “쏘렌토인가, 아니네?” 캐딜락 옵틱, 국내시장 정조준
  • “BMW M3 가솔린 단종?” M3 전기차 공개와 함께 논란 일파만파
  • “한국 사랑해요” 유럽보다 1천만원 싸게 나온다?
  • “단차 심한 테슬라로 바다를?” 사이버트럭 과연?
  • “얘네는 도대체 무슨 생각이야?” 일본의 황당한 차
  • “이대로만 나오면 살텐데…”제네시스 비전 그란투리스모 공개
  • 현대차 아마존 판매 “미국 대히트”패러디까지… 이슈몰이 성공

공유하기